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대한 개츠비(2013) 1920년대 미국경제 호황기의 화려함과 부, 그리고 욕망을 그린 영화

반응형

서론

1920년대,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후 번영과 변화가 교차하는 시기였습니다. 이 때문에 당시의 사회는 독특한 모순과 불안정함을 안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는 미국사회의 어두운 면과 극명한 부와 불평등을 그린 작품으로 손꼽힙니다. 이제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1920년대의 미국경제와 사회적 상황에 대해 탐험해보고자 합니다. 1920년대의 미국, 뉴욕.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 번영과 함께 패션과 문화가 번성하는 '재즈 시대'가 펼쳐지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의 사회는 부와 성공을 쫓는 열정으로 넘치고 있었으나, 동시에 금전만큼이나 허상과 공허함이 깊이 뿌리내리는 시대였습니다다. 소위 '칠레인지 세대(창조 세대)'라 불리는 이 때,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가 이 시대의 모순된 면모를 세밀하게 그려내었습니다.

미국호황기에 대해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을 알고 싶은 사람은 꼭 봐야 하는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소설의 주인공 닉 카라웨이의 시각을 중심으로 개츠비라 불리는 남자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닉은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오가는 개츠비와 닮은 꼴의 친구 톰 부커와 데이지와의 복잡한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미국 경제의 번영은 이들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다. 고압적이고 현실적인 톰은 기득권층의 대표자로서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었으며, 그의 부인 데이지 역시 화려한 파티와 고급 경치가 풍부한 삶을 즐기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개츠비는 다릅니다. 그는 부와 명예를 향한 꿈에 사로잡힌 자, 그리고 그 꿈을 향한 끝없는 탐욕의 희생자로 그려집니다. 아마도 이 시대에는 이런 사람들이 주류를 이루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1920년대의 미국은 금전과 사치, 그리고 사회적 지위에 대한 열망이 동시에 충족되고 있는 시기였습니다. 이 시대의 사회는 부의 증가와 함께 부족함과 공허함의 극대화를 겪고 있었습니다. 개츠비의 성공과 부의 뒤엔 그를 둘러싼 비어 있는 현실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피츠제럴드는 이 소설을 통해 부와 사랑, 명예 등 인간의 가장 깊은 욕망과 그에 따른 고통과 현실의 간극을 깊이 있게 그려냈습니다. 그는 고요한 한줄기 희망을 통해 인간의 내면에서의 존엄성을 찾으려는 노력을 묘사함으로써 현실과 이상의 대립을 강조합니다.

부와 명예의 꿈

주인공 닉 카라웨이는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가며 독자를 1920년대 뉴욕으로 안내합니다. 그의 이야기의 중심에는 신비로운 개츠비가 등장합니다. 개츠비는 재산과 성공을 향한 갈망에 가득 차, 동시에 그를 에워싼 비극적인 사랑의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개츠비는 가난했던 시절 사랑하는 여자를 다시 만나기 위해 자신의 노력과 운을 통해 부를 쌓게 됩니다. 그리고 이제는 이미 결혼해버린 사랑하는 여자를 만나기 위해 노력합니다. 어린시절 읽었던 위대한 개츠비가 전 사실 이해가 잘 되지 않았습니다. 꼭 불륜이나, 치정을 떠나서, 저렇게 막대한 부를 쌓았으면 그냥 다른 여자를 만났을텐데 하는 생각이 많았거든요. 하지만, 개츠비를 계속 보다 보면, 그 순수한 사랑에 이내 고개를 숙이고 맙니다.

부와 불평등의 그림자

세련되고 화려한 파티가 열리는 개츠비의 저택은 그림 같은 풍경에도 불구하고, 사치스럽고 비어 있는 면모를 감추고 있습니다. 피츠제럴드는 부의 부작용과 고립된 현실을 예리하게 그려냄으로써 당시의 미국사회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무대장치를 통해 관객에게 심오한 의미를 던져 줄 수 있다는 것이 영상매체의 돋보이는 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겉은 화려하지만 속 알맹이는 텅 비어 있는 듯한 느낌은 저 스스로도 제 내면에 어떤 것을 채워 넣어야 할까 고민을 하게 됩니다. 

사랑의 무거운 짐

데이지와 개츠비 간의 사랑은 특히 이 작품에서 중요한 테마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사랑은 부와 허상에 둘러싸여 있으며, 결국은 비극으로 이어집니다. 피츠제럴드는 이를 통해 당시 사회에서의 사랑과 결혼의 복잡한 모습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개츠비는 순수했지만, 데이지는 끝내 순수하지 못했습니다. 이미 그녀가 허영과 방탕의 아이콘인 것을 알아야 했지만 비극적이게도 개츠비는 알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애시당초 순수했다면 데이지는 결혼하지 않았겠지요?

현실과 이상의 대립

작품은 현실과 이상 간의 불일치를 강조합니다. 개츠비의 꿈과 희망은 어떤 때는 어둡고 비참한 현실과 대조적입니다. 이로써 작가는 당시의 미국경제와 인간의 내면 간의 괴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합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위대한개츠비를 3번 읽지 않은 사람과는 친구를 맺지 않는 다는 말이 기억납니다. 그만큼 뛰어난 작품이라는 뜻이지요. 정말이지 영화를 보더라도 어쩜 저렇게 현실과 이상의 대립을 잘 그려 놓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결론

"위대한 개츠비"는 1920년대의 미국사회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부와 사랑, 권력과 부정, 허상과 진실의 미묘한 굴레를 묘사합니다. 이는 당시 미국경제의 번영 속에도 깊이 자리한 인간의 내면의 고뇌와 현실과의 충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작품은 오늘날에도 미국 경제의 성장과 함께 계속되는 부와 이상에 대한 탐욕과 공허함에 대한 경고로 우리에게 남아있습니다. 개츠비의 이야기는 성공과 부의 뒤에 감춰진 인간의 진정한 가치에 대한 깊은 사색을 불러 일으킵니다

반응형